KBS1의 장수 프로그램 **‘한국인의 밥상’**이 2025년 4월, 방송 14년 만에 큰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오랫동안 프로그램을 이끌어온 최불암 선생님이 하차하고, 그 바통을 배우 최수종 씨가 이어받으면서 시청자들의 기대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한국인의 밥상’, 국민 프로그램의 새 출발

2011년 1월 첫 방송 이후, ‘한국인의 밥상’은 한 끼 밥상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정서, 계절의 흐름, 지역 특색을 따뜻하게 담아내며 큰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최불암 선생님의 깊이 있는 진행과 차분한 내레이션은 이 프로그램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죠.
하지만 2025년 4월 10일, 700회 특집 방송을 끝으로 최불암 선생님은 물러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얼굴, 최수종 씨가 등장했습니다. 변화는 낯설지만, 따뜻함은 그대로입니다.
최수종, “한걸음 한걸음 따라가겠습니다”
최수종 씨는 드라마와 예능을 넘나드는 국민 배우로서, 진정성 있는 이미지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새로운 진행자로 발탁된 후 “존경하는 최불암 선생님의 뒤를 잇는다는 것이 부담스럽지만, 영광이기도 하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700회 특집 방송에서는 강부자, 이정현, 박찬일 셰프 등과 함께 한자리에 모여 제철 식재료로 음식을 만들며 밥상의 의미를 되새기는 감동적인 장면이 연출됐습니다. 특히 최수종 씨는 내레이션 녹음 중, “음식이 불러온 어머니의 기억”을 전하며 눈물을 흘리는 모습으로 시청자들의 가슴을 울렸습니다.
변화를 통해 이어지는 ‘한국인의 밥상’ 감성
변화는 있지만, ‘한국인의 밥상’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바로 한국인의 삶과 정서를 밥상 위에서 되새기고, 다음 세대에게 전하는 것이죠.
최수종 씨는 앞으로 각 지역을 직접 찾아가, 그 지역의 제철 음식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담아낼 예정입니다. 제작진 또한 “새로운 진행자와 함께 ‘한국인의 밥상’이 더 많은 세대에게 공감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시청자들의 반응은?
변화에 대한 우려도 있었지만, 방송 이후 시청자들의 반응은 대부분 긍정적입니다.
• “최수종 씨 특유의 따뜻한 말투가 너무 잘 어울린다.”
• “최불암 선생님의 발자취를 존중하며 새로운 색깔을 만들어가는 모습이 보기 좋다.”
• “700회 특집, 진짜 감동적이었다. 눈물 났어요.”
이처럼 시청자들은 프로그램의 본질을 지켜가려는 제작진의 노력과 최수종 씨의 진심에 높은 점수를 주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한국인의 밥상’이 기대되는 이유
1. 진정성 있는 배우 최수종의 진행력
2. 지역 음식과 사람에 대한 깊은 이야기
3. 가족, 세대, 공동체의 의미를 되새기는 따뜻한 콘텐츠
‘한국인의 밥상’은 단순한 음식 프로그램을 넘어, 한국인의 기억과 문화, 정서를 전하는 공감 콘텐츠입니다. 앞으로도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40분, 밥상 위의 철학과 사람 사는 이야기를 기대해보셔도 좋습니다.
⸻
#한국인의밥상 #최수종 #KBS교양프로그램 #최불암후임 #밥상예능 #지역음식 #세대공감 #한국방송 #교양프로그램추천